페가수스 (로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가수스 로켓은 1990년 처음 발사된 공중 발사 로켓으로, 록히드 마틴의 L-1011 스타게이저 항공기에서 발사된다. 허큘리스 에어로스페이스에서 개발한 오리온 고체 모터를 사용하며, 날씨의 영향을 덜 받아 발사 지연을 줄일 수 있다. 페가수스, 페가수스 하이브리드, 페가수스 XL 등 다양한 파생형이 있으며, XL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45번의 발사 중 3번의 실패와 2번의 부분 실패를 기록했으며, 30번 연속 성공을 포함하여 약 89%의 성공률을 보였다. 한국군도 전술적 필요에 따라 페가수스 로켓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우주발사체 - 런처원
런처원은 버진 그룹의 우주 기업인 버진 갤럭틱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버진 오빗으로 이관된 공중 발사 방식의 2단 로켓으로, 보잉 747 항공기를 이용해 저궤도에 소형 위성을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나, 2023년 발사 실패 후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 미국의 우주발사체 - 아틀라스 V
아틀라스 V는 록히드 마틴과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가 개발한 발사체로, 다양한 구성으로 위성 및 탐사선 발사에 사용되며 보잉 스타라이너 유인 캡슐 발사를 통해 유인 우주 비행에도 활용되고 있고, ULA는 벌컨 센타우르 로켓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페가수스 (로켓) | |
---|---|
개요 | |
![]() | |
기능 | 소형 위성 발사체 |
제조사 | 노스럽 그러먼 |
원산지 | 미국 |
성능 | |
저궤도 | altitude: inclination: 28.5° mass: |
물리적 특징 | |
높이 | XL: |
질량 | XL: |
단수 | 3 |
발사 정보 | |
상태 | 활성 |
발사 장소 | 공중 발사: 케이프커내버럴 에드워즈 간다르 케네디 콰잘레인 반덴버그 왈롭스 |
총 발사 횟수 | 45 |
성공 횟수 | 40 |
실패 횟수 | 3 |
부분적 성공 횟수 | 2 |
첫 발사 | 1990년 4월 5일 (Pegsat / NavySat) |
마지막 발사 | 2021년 6월 13일 (TacRL-2 / Odyssey) |
파생 모델 | |
파생형 | 미노타우르스 C |
비교 대상 | 일렉트론, Vector-H, 팰컨 1, 론처원 |
스테이지 정보 | |
1단계 | name: 오리온 50S thrust: burntime: 75.3 초 fuel: HTPB / Al |
1단계 (Pegasus XL) | name: 오리온 50SXL length: diameter: empty: gross: propmass: thrust: SI: burntime: 68.6 초 fuel: HTPB / Al |
2단계 | name: 오리온 50 thrust: burntime: 75.6 초 fuel: HTPB / Al |
2단계 (Pegasus XL) | name: 오리온 50XL length: diameter: empty: gross: propmass: thrust: SI: burntime: 71 초 fuel: HTPB / Al |
3단계 | name: 오리온 38 length: diameter: empty: gross: propmass: thrust: SI: burntime: 66.8 초 fuel: HTPB / Al |
4단계 (선택 사항) | name: HAPS length: diameter: propmass: engines: 3 × MR-107N thrust: SI: burntime: 131 + 110 초 (2회 연소) fuel: |
2. 역사
페가수스 로켓은 안토니오 엘리아스가 이끄는 팀에 의해 설계되었으며,[5] 1990년 4월 5일에 첫 발사가 이루어졌다.[6] 초기에는 NASA의 B-52 폭격기가 사용되었으나,[7] 1994년부터는 에어 캐나다에서 사용했던 L-1011 트라이스타 여객기를 개조한 "스타게이저" 항공기가 사용되고 있다.[9] "스타게이저"라는 이름은 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에 대한 오마주이다.[9]
페가수스는 3개의 오리온 고체 모터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4단에 하이드라진 보조 추진 시스템(HAPS)을 추가할 수 있다. 초기형, 하이브리드형, XL형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XL형이 가장 일반적인 구성이다.[4]
페가수스 프로그램은 여러 차례의 실패와 부분 실패를 겪었지만,[10] 30번의 연속적인 성공적인 비행을 기록하며 총 89%의 성공률을 보였다.[10] 2019년 이후 발사가 감소하는 추세였으나,[16] 2021년 6월 미국 우주군의 전술대응 위성 발사에 다시 사용되었다.[44]
3. 구성 및 제원
페가수스는 안토니오 엘리아스가 이끄는 팀에 의해 설계되었다.[5] 3개의 오리온 고체 모터는 허큘리스 에어로스페이스(후에 앨리언트 테크시스템스)에서 페가수스 발사체를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지만, 이전에 종료된 미 공군 소형 ICBM 프로그램에서 개발된 첨단 탄소 섬유, 추진제 배합 및 케이스 절연 기술을 사용했다. 날개와 핀의 구조는 버트 루탄과 그의 회사인 스케일드 컴포지트에서 설계했으며, 이 회사가 오비탈을 위해 제작했다.
1994년에 도입된 페가수스 XL은 탑재량 성능을 높이기 위해 1, 2단계를 늘렸다.[12] 페가수스 XL에서 1단계와 2단계는 각각 오리온 50SXL과 오리온 50XL로 길어졌다. 상위 단계는 변경되지 않았으며, 비행 운영은 유사하다. 더 높은 무게를 처리하기 위해 날개가 약간 강화되었다. 표준 페가수스는 단종되었으며, 2019년 현재 페가수스 XL이 여전히 운용 중이다.[13][14]\ 페가수스 페가수스 하이브리드 페가수스 XL 전장 15.43 m 17.41 m 날개폭 6.71 m 대표 직경 1.27 m 총 발사 질량 19.27 t 22.69 t 탑재 하중 350 kg / 28.5° 200km LEO 440 kg / 28.5° 200km LEO 모기(母機) NB-52B L-1011 개조 스타게이저 현가 위치 날개 아래 파일론 동체 아래
로켓 개발에 기여한 안토니오 엘리아스가 이끄는 페가수스 팀은 1991년 미국 기술 훈장을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수상했다.
초기 발사 가격은 미국 달러 600만 달러였으며, 옵션이나 HAPS 기동 단계는 포함되지 않았다. 페가수스 XL로 확대되고 차량에 대한 관련 개선 사항이 적용됨에 따라 기본 가격이 인상되었다. 또한 고객은 일반적으로 추가 테스트, 설계 및 분석, 발사 현장 지원과 같은 추가 서비스를 구매한다.[15]
3. 1. 1단
페가수스 로켓의 1단은 오리온 50S 또는 오리온 50SXL 고체 로켓 모터를 사용한다. 1단 점화 후, 탄소 복합재 구조와 45도 삼각익은 피치업(pitch-up)을 돕고 약간의 양력을 제공한다. 오리온 50S 모터는 추력 벡터링 노즐이 없으므로, 꼬리 날개는 1단 비행 동안 조향을 담당한다.[21] 약 1분 17초 후, 오리온 50S 모터의 연소가 종료된다. 1단은 날개와 꼬리 표면과 함께 분리된다.
페가수스, 페가수스 하이브리드, 페가수스 XL의 1단 제원은 다음과 같다.
구분 | 페가수스 | 페가수스 하이브리드 | 페가수스 XL |
---|---|---|---|
사용 엔진 | Orion 50S | Orion 50S | Orion 50SXL |
전장 | 8.86m | 10.27m | |
대표 직경 | 1.27m | ||
질량 | 14,020 kg | 15,383 kg | |
추진제 | QDL-1 | ||
추진제 질량 | 12,163 kg | 15,014 kg | |
진공 평균 추력 | 464.8 kN | 625.9 kN | |
진공 비추력 | 294 s | 295 s | |
노즐 팽창비 | 35.3 | 34.3 | |
유효 연소 시간 | 75.3 s | 68.6 s |
3. 2. 2단
오리온 50 또는 50XL 고체 로켓 모터를 사용하며, 약 1분 18초 동안 연소한다. 자세 제어는 피치와 요 축을 중심으로 오리온 50 모터의 추력 편향으로 이루어지며, 롤 제어는 3단에 있는 질소 추력기로 제공된다. 2단 비행 중간에 발사기는 거의 진공 상태의 고도에 도달하면 페어링이 분리되어 탑재체와 3단이 드러난다. 2단 모터가 연소되면, 임무에 따라 궤도에서 적절한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관성 비행한다. 그 후 오리온 50이 버려지고, 3단의 오라이온 38 모터가 점화된다.페가수스, 페가수스 하이브리드, 페가수스 XL 세 가지 버전의 2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 페가수스 | 페가수스 하이브리드 | 페가수스 XL |
---|---|---|---|
사용 엔진 | Orion50 | Orion50XL | |
전장 | 2.67m | 3.11m | |
대표 직경 | 1.27m | ||
질량 | 3379kg | 4341kg | |
추진제 | QDL-1 | ||
추진제 질량 | 3025kg | 3925kg | |
진공 평균 추력 | 114.5 kN | 160.5 kN | |
진공 비추력 | 292 s | 289 s | |
노즐 팽창비 | 52.1 | 43.5 | |
유효 연소 시간 | 75.6 s | 69.4 s |
3. 3. 3단
오리온 38 고체 로켓 모터를 사용하며, MNTVC으로 자세를 제어한다. 3단은 약 64초 동안 연소한다. 롤(roll) 제어는 질소 추력기의 도움을 받는다.단수(Stage) | 3단 |
---|---|
사용 엔진 | Orion38 |
전장 | 1.34 m |
대표 직경 | 0.97 m |
질량 | 896 kg |
추진제 | QDL-1 |
추진제 질량 | 770 kg |
진공 평균 추력 | 32.2 kN |
진공 비추력 | 287 s |
노즐 팽창비 | 49.3 |
유효 연소 시간 | 68.5 s |
3. 4. 4단 (선택 사항)
더 높은 고도, 더 정확한 궤도 투입, 또는 더 복잡한 기동을 위해 4단이 추가되기도 한다. HAPS(Hydrazine Auxiliary Propulsion System, 하이드라진 보조 추진 시스템)는 세 개의 재시동 가능한 단일 추진제 하이드라진 추력기로 구동된다. 이중 발사와 마찬가지로 HAPS는 탑재체에 사용할 수 있는 고정된 부피를 줄인다. 적어도 DART (위성)(DART (satellite))의 경우, 우주선이 HAPS를 중심으로 제작되었다.4단 (선택 사항) | |
---|---|
사용 엔진 | HAPS (MR-107K) |
전장 | 0.8m |
대표 직경 | 0.4m |
질량 | 100kg |
추진제 | 하이드라진 |
추진제 질량 | 41kg |
진공 평균 추력 | 0.67 kN |
진공 비추력 | 235 s |
노즐 팽창비 | - |
유효 연소 시간 | 142 s |
4. 공중 발사의 장점 및 단점
페가수스 로켓은 록히드 마틴이 제작한 L-1011 스타게이저 비행기에서 발사되는데, 고도 40,000 피트(12 km) 상공에서는 날씨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기존 우주로켓 발사 지연의 가장 큰 원인인 날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진다.[44]
공중 발사 로켓은 지상 발사대가 필요 없고 발사 장소와 날씨에 구애받지 않아 원하는 때에 전천후로 위성을 발사할 수 있다. 이는 발사 시간대가 제한되는 과학 위성이나 즉응성이 요구되는 위성 발사에 특히 유리하다.[43] 예를 들어, 미국 우주군 우주미사일시스템센터는 전술대응 위성 발사 프로그램의 시범위성 `TacRL-2'를 페가수스 XL 로켓에 실어 지구 저궤도에 올려놓았는데, 이는 전술적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목표물을 궤도에 투입하거나 교체하는 기술을 확보하기 위함이었다.[44]
하지만 공중 발사 로켓은 모기(여기서는 발사 모체인 항공기를 의미)의 연간 유지비가 고정 비용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연간 발사 횟수가 감소하면 발사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페가수스는 초기 발사 비용을 600만달러로 목표했지만, 주문량이 예상을 밑돌아 1992년에는 1250만달러로 상승했다. 이후 구성 변경 등으로 비용이 더욱 상승하여 최근에는 4000만달러에 달하고 있다.[43] 이는 당초 목표했던 저비용 운용을 어렵게 만들었고, 결과적으로 더 큰 탑재량을 가진 미노타우로스 I 로켓으로 고객이 이동하는 결과를 낳았다.
5. 대한민국
한국군도 록히드 마틴이 제작한 L-1011 스타게이저 비행기에서 발사되는 페가수스 로켓을 국산화하기로 했다.[44] 이는 전술적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위성을 궤도에 투입하거나 교체하는 기술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지상 발사대가 필요 없는 공중 발사 로켓은 발사 장소와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때에 전천후로 위성을 발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4]
6. 발사 실적
페가수스는 1990년부터 2021년까지 45번의 발사를 수행했다.[13]
6. 1. 주요 발사 실패 사례
다음은 페가수스 로켓의 주요 발사 실패 사례이다.- F-6 (1994년 6월 27일): 페가수스 XL의 첫 비행이었다. 발사 35초 만에 통제력을 상실했고, 이륙 38초 만에 원격 측정 하향 링크가 끊겼으며, 39초 만에 사격 통제에 의해 발사가 중단되었다. 부적절한 공기역학적 모델링이 원인으로 추정된다.[5] 미국 국방부 우주 시험 프로그램의 위성, 우주 시험 실험 플랫폼, 미션 1(STEP-1)을 탑재했다.
- F-9 (1995년 6월 22일): 1단과 2단 분리 실패로 로켓이 파괴되었다. 2단계 노즐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로켓이 궤도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미국 국방부 우주 시험 프로그램의 위성, 우주 시험 실험 플랫폼, 미션 3(STEP-3)을 탑재했다.
- F-14 (1996년 11월 4일): 배터리 방전으로 인해 탑재체 분리에 실패했다. 발사 중 배터리 손상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고에너지 과도 현상 탐지기(High Energy Transient Explorer)와 아르헨티나의 SAC-B 위성이 손실되었다.[11]
6. 2. 부분 성공 사례
7. 관련 기술 및 파생형
페가수스 로켓 기술은 다른 발사체에도 활용되고 있다. 지상 발사형 로켓인 토러스와 미노타우르 로켓은 페가수스의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NASA의 극초음속 실험기 X-43은 페가수스 1단을 부스터로 사용했다. 지상 기반 미사일 방어 (GBMD) 요격기의 부스터는 페가수스 1단을 개량한 것이다.
8. 정찰위성
1990년대에는 고해상도 정찰위성이 1톤을 넘었다. 그러나 2021년 기준으로, 옛날의 고해상도 정찰위성은 200kg 또는 60kg 무게로 작아졌다.[1]
참조
[1]
웹사이트
Surplus Missile Motors: Sale Price Drives Potential Effects on DOD and Commercial Launch Providers
https://www.gao.gov/[...]
2024-07-07
[2]
웹사이트
Pegasus Rocket
https://www.northrop[...]
2020-07-28
[3]
웹사이트
Pegasus rocket
https://www.oxfordre[...]
2023-03-03
[4]
웹사이트
Pegasus User's Guide
http://www.orbitalat[...]
Orbital-ATK
2015-10-01
[5]
간행물
Winging it Into Space
https://books.google[...]
Popular Science
1989-05-01
[6]
서적
An Adventure Begins - Orbital's First 25 Years
Orbital Sciences Corporation
2007-01-01
[7]
논문
Pegasus First Mission Flight results
https://digitalcommo[...]
1990-01-01
[8]
웹사이트
NASA Johnson Space Center Oral History Project Commercial Crew & Cargo Program Office Edited Oral History Transcript
https://historycolle[...]
NASA
2013-06-03
[9]
웹사이트
startrek.com
http://www.startrek.[...]
[10]
뉴스
NASA reviews space access after second Pegasus failure
https://www.flightgl[...]
[11]
뉴스
Pegasus clings to its satellite cargo
https://www.newscien[...]
[12]
뉴스
The Launch Pad Lesson: With Rockets Come Risks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23-05-12
[13]
웹사이트
Pegasus Mission History
http://www.northropg[...]
Northrop Grumman
2018-11-02
[14]
웹사이트
Pegasus Rocket
https://www.northrop[...]
2019-10-13
[15]
웹사이트
NASA Awards Launch Services Contract for Ionospheric Connection Explorer
http://www.nasa.gov/[...]
NASA
2017-09-26
[16]
뉴스
SpaceX wins NASA contract to launch X-ray telescope on reused rocket
https://spaceflightn[...]
Spaceflight Now
2019-07-10
[17]
웹사이트
PUNCH Announces Rideshare with SPHEREx and New Launch Date
https://blogs.nasa.g[...]
2022-08-03
[18]
뉴스
NASA Awards Launch Services Contract for SPHEREx Astrophysics Mission
https://www.nasa.gov[...]
NASA
2021-02-04
[19]
웹사이트
Rockets purchased by Stratolaunch back under Northrop Grumman control – Spaceflight Now
https://spaceflightn[...]
[20]
웹사이트
Stratolaunch to launch Pegasus rockets
http://spacenews.com[...]
SpaceNews
2018-06-07
[21]
웹사이트
Letter: "Qualified Success" Sells Pegasus Short
https://spacenews.co[...]
SpaceNews
2011-12-06
[22]
웹사이트
Pegasus Payload User's Guide
https://www.northrop[...]
2020-09-01
[23]
웹사이트
Pegasus/SCD 1 Launch Anomaly Review Committee Final Report of March 1993
https://llis.nasa.go[...]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23-08-05
[24]
웹사이트
Special Investigation Report - Commercial Space Launch Incident Launch Procedure Anomaly Orbital Sciences Corporation Pegasus/SCD-1 80 Nautical Miles East of Cape Canaveral, Florida February 9, 1993
https://www.ntsb.gov[...]
2023-08-05
[25]
웹사이트
Pegasus XL rocket to carry out Tactically Responsive Launch demo for Space Force
https://www.nasaspac[...]
NASASpaceFlight.com
2021-06-13
[26]
웹사이트
AIM (Aeronomy of Ice in the Mesosphere)
https://directory.eo[...]
2020-03-31
[27]
웹사이트
C/NOFS (Communication/Navigation Outage Forecast System)
https://earth.esa.in[...]
2020-03-31
[28]
웹사이트
IBEX - eoPortal Directory - Satellite Missions
https://directory.eo[...]
2020-03-31
[29]
웹사이트
Nuclear Spectroscopic Telescope Array, or NuSTAR
http://www.jpl.nasa.[...]
2012-06-16
[30]
웹사이트
NuSTA
http://www.nustar.ca[...]
2010-12-01
[31]
웹사이트
NASA's Consolidated Launch Schedule
http://www.nasa.gov/[...]
NASA
2013-05-14
[32]
웹사이트
IRIS Launch Coverage
http://www.nasa.gov/[...]
NASA
2013-06-28
[33]
웹사이트
NASA Awards Launch for Orbital's Pegasus Rocket
http://www.parabolic[...]
Orbital press release
2015-04-06
[34]
웹사이트
Pegasus launches CYGNSS constellation following Stargazer release
https://www.nasaspac[...]
2020-03-29
[35]
웹사이트
Pegasus launches CYGNSS constellation following Stargazer release
https://www.nasaspac[...]
2016-12-16
[36]
웹사이트
Launch of NASA ionospheric probe delayed to examine rocket issue
https://spaceflightn[...]
Spaceflight Now
2017-11-10
[37]
웹사이트
ICON Fast acts
https://icon.ssl.ber[...]
2020-03-29
[38]
웹사이트
NASA's ICON mission launches on Northrop Grumman Pegasus XL rocket
https://www.nasaspac[...]
NASASpaceFlight.com
2019-10-11
[39]
웹사이트
U.S. Space Force to launch "space domain awareness" satellite on Pegasus rocket
https://spacenews.co[...]
SpaceNews
2021-06-10
[40]
웹사이트
Northrop Grumman's Pegasus rocket selected for responsive launch demo
https://spaceflightn[...]
Spaceflight Now
2021-03-17
[41]
웹사이트
Space Force Got A Satellite Into Orbit In Just Four Months
https://www.thedrive[...]
2021-06-14
[42]
서적
International reference guide to space launch systems
https://archive.org/[...]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43]
웹사이트
Surplus Missile Motors: Sale Price Drives Potential Effects on DOD and Commercial Launch Providers
http://www.gao.gov/a[...]
U.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017-08
[44]
뉴스
공중발사 로켓, 위성 신속배치 시대 연다
한겨레
2021-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